달마 :: 광주교도소 유골 40구 발견 옛 광주교도소 5.18 연관 가능성은

법무부는 20일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내 공동묘지에 조성된 무연고분묘 개장 작업 중 관리대장에는 없는 신원 미상의 유골 40여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법무부는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과 함께 이 유골들에 대해 5ㆍ18 희생자 및 암매장 여부를 확인 중이다고 합니다.


김오수 법무부 장관대행은 이날 옛 광주교도소 부지를 둘러보고 발굴된 유골 등에 대한 보고를 들었다.

법무부는 지난 5월 옛 광주교도소 공동묘지 내 관리대상 개인묘 50기 외에 합장묘 2기(61구)에 111구의 유골이 안치돼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들 유골은 1972년 4월 21일부터 1995년 9월 사이에 사망한 수감자들의 것이다. 이 중 합장묘에서 발견된 시신 유골은 무연고자이거나 사형수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법무부는 지난 16일부터 묘지 개장 작업을 하던 중 광주교도소가 관리하지 않는 40여구의 유골을 추가 발견했다. 유골이 발굴된 곳은 법무부가 놀이형 법체험 테마파크인 ‘솔로몬 로(law)파크’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대상 부지다. 김 장관대행은 “우리가 관리하지 않은 유골이 발견됐기 때문에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어떤 연유로 관리되지 않은 유골이 교정부지 내에 묻히게 됐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 될 것 이라고 설명하였다.


법무부로부터 관리대상 유골 111구의 명단을 넘겨받아 5ㆍ18연관성을 검토했던 5ㆍ18기념재단은 5ㆍ18 희생자 암매장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신원 미상의 유골들이 추가로 나왔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5ㆍ18단체들과 유족들은 다시 한 번 희생자 유해 발굴에 대해 실낱 같은 기대를 걸고 있다. 5ㆍ18 당시 계엄군이 희생자들을 무연고분묘에 몰래 안장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5ㆍ18 당시 시민군과 계엄군의 주요 격전지였던 옛 광주교도소는 그간 희생자 암매장 목격자들의 증언이 끊이지 않으며 여전히 ‘의혹의 땅’으로 남아 있다. 실제 1980년 5월 31일 계엄사령부가 작성한 ‘광주사태 진상 조사’ 문건에는 이른바 ‘교도소 습격 사건’으로 민간인 28명이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5ㆍ18 당시 계엄군은 광주교도소에 3일간(5월 21~23) 주둔하였다.


당시에 3공수여단 등 계엄군 병력이 주둔하며 시 외곽으로 이어지는 길목에 자리해 계엄군의 광주 봉쇄작전이 진행됐다. 3공수 병력이 전남대에 억류했다가 교도소로 철수할 때 끌고 간 시민과, 교도소 인근 도로를 지나가던 행인 등이 다수 희생돼 교도소에 암매장됐을 것이란 추정이 많지만 아직 신원과 숫자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


옛 광주교도소 관사 뒤와 앞 야산에서 모두 11구의 시신이 암매장된 상태로 발견됐을 뿐 나머지 사망자에 대한 행방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5ㆍ18기념재단은 2017년 11월 옛 광주교도소 북측 외부 담장 인근 및 테니스장 하부 지역과 서측 담장ㆍ정화조 구역, 남측 담장 주변 등을 암매장 추정지로 꼽고 발굴작업을 벌였지만 성과는 없었다. 이번 개장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무연고분묘는 교도소 북측 외부 담장에서 100여m 떨어져 있다고 합니다.


암매장 흔적 탐색은 다른 곳에서도 있었으나 매번 성과없이 끝났으며. 광주시와 5·18기념재단은 시민제보를 근거로 1997년 암매장 추정지 발굴을 개시해 2017년까지 발굴작업을 4차에 걸쳐 했다. 특히 2년전 광주와 전남 화순의 경계인 너릿재, 광주천 주변 자전거길 등 50여일간 이어진 조사에서 성과를 내지 못한 가운데, 이번 시신 40여구 발견이 광주 유족들의 피맺힌 한을 풀 중요한 계기가 될지 관심을 끌고 있다.

 

2017년 말쯤 5·18민주화운동 당시 제3공수여단 본부장인 소령이 작성한 기록과 메모, 11대대와 15대대 부대원의 증언에 이어 사병으로 광주에 투입돼 옛 광주교도소에서 시신 5구를 매장했다는 증언이 발견됐다.

김양래 5·18기념재단 이사는 당시 "80년 5월 제3공수여단 11대대에 사병으로 복무하면서 광주에 투입됐다는 이 모 병장이 시신 5구를 본인이 묻었다는 증언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1989년 1월 이 병장은 5·18당시 사병으로 광주에 투입됐었고, 자신이 직접 옛 광주교도소 내에 시위대 사망 시신 5구를 매장했다고 당시 평화민주당 중앙당에 신고했다.

같은해 1월12일 평민당 광주특위 실무요원들과 신고자가 광주교도소에서 현장확인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제3공수여단 본부대장인 김모 소령은 1995년 5월29일 서울지검에서 작성한 기록과 메모 등에 옛 광주교도소의 암매장 사실을 밝혔다.

김 소령은 "5월23일 오후 6시부터 약 2시간에 걸쳐 전남대학교에서 광주교도소로 호송하는 과정에서 사망한 3명을 포함해 12구의 시신을 매장한 사실이 있다'고 진술했었다.

관이 없어서 2구씩 가마니를 덮어서 묻었다"고 표현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김 소령이 검찰에 제출한 약도를 통해 해당 지역이 특정됐다.

이와 함께 3공수여단 15대대와 11대대 등 당시 주둔했던 부대원들이 80년 당시 옛 광주교도소에서 암매장 사실이 있었다고 증언했다.

여기에 1980년 당시 교도소에 수감 중이었던 재소자가 "교도소 담장 밖에서 중장비로 땅을 파는 모습을 보았다"는 제보도 나왔다.

5·18 직후 교도소 관사 뒤에서 8구, 교도소 앞 야산에서 시신 3구 등 11구의 시신이 암매장 형태로 발견됐다.

허장환 전 505보안부대 수사관은 지난 5월14일 광주 5·18기념문화센터에서 열린 '5·18증언회'에서 "5·18 당시 시신은 전부 가매장했다"고 밝혔다.

허 전 수사관은 "암매장과 가매장이라는 용어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며 "암매장은 없었고 전부 가매장했다"고 말했다.


암매장은 남몰래 시신을 파묻는 것이고 가매장은 통상 전투지역에서 실시하는 매장 방법으로 시체 후송이 허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임시로 매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허 전 수사관은 "보안사령부에서 간첩이 침투했는지를 엄중히 가려내라고 지시해 전남도경의 지문채취 전문 경찰과 함께 가매장된 시신을 전부 발굴했다"며 "당시 장갑 끼고 해도 냄새 나 죽겠다고 푸념했다. 100% 지문을 채취했고 발굴한 시신을 다시 매장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5ㆍ18기념재단 관계자는 “옛 광주교도소에서 발견된 신원 미상 유골들에 대해선 5ㆍ18 희생자 및 암매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광주시와 함께 5ㆍ18행방불명자 신고 가족(295명) DNA와 비교 분석을 해주도록 법무부에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블로그 이미지

boy906

달마에블로그에오신걸 환영합니다. 소통해보아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