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마 :: '지카바이러스위험국가' 태그의 글 목록

'지카바이러스위험국가'에 해당되는 글 1건


지카바이러스는 B·C형간염, 일본뇌염, 뎅기열 등과 함께 격리는 필요 없지만, 발생률을 계속 감시할 필요가 있는 3급 법정 감염병에 속합니다.


주로 해외에서 모기(이집트숲모기 등)에 물려 감염되며 수혈에 의한 전파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또 성접촉에 의한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으며, 지카바이러스에 걸린 임신부들이 머리가 작은 '소두증' 아기를 출산하는 연관성도 관찰됐습니다.

의료계와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최근 동남아 지역을 여행하고 돌아온 한국인 남녀 3명(필리핀 2명, 베트남 1명)이 모기에 물린 뒤 피부 발진 등의 증상으로 의심환자로 분류됐으나, 유전자 증폭(PCR) 검사에서 최종 음성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들은 지난 1월에 동남아 여행을 다녀온 뒤 감염병 증상이 생겨 2월 초 병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내 지카바이러스 감염자는 2016년 16명이 발생한 뒤 매년 환자가 줄어들어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연간 3명에 머물렀습니다.

지난해만 보면 1월, 8월, 9월에 1명씩의 감염자가 발생했습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3명이 일행은 아니지만, 모두 동남아 국가 여행 중 모기에 물려 발진 등의 피부 증상이 나타났다"면서 "일단 의심 환자로 분류한 뒤 유전자 검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갑작스러운 열과 관절통, 결막염, 근육통, 두통 등 증상이 최대 2주 안에 동반됩니다.

이 바이러스도 코로나19와 마찬가지로 백신이 없어 모기 노출을 최소화하는 게 최선입니다.


휴식을 취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면 대부분 증상이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감염병'이라는 점에서 방심해선 안 됩니다.

특히 임신부는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국가 여행을 연기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또 해당 국가를 방문했다면 6개월간 임신을 늦추는 것이 좋습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지카바이러스는 여전히 동남아 국가 등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부득이 지카바이러스 유행국을 여행한다면, 매개체로 지목되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향수와 화장품 사용 자제하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지카바이러스란 무엇인가?

ZIKV는 FlaviviridaeFlavivirus 속에 속하는 바이러스이다. 아프리카 계열과 아시아계열의 두계열이 있다.

 

구조

 

ZIKV는 직경이 약 50nm의 구형으로, 정이십면체의 뉴클레오캡시드는 숙주세포의 소포체에서 유래한 외피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외피막에는 M (membrane)과 E (envelope) 두 종류 단백질이 표출되어있다.

 

유전체

ZIKV는 유전물질로 약 11-kb의 양성 단일 가닥 RNA를 가진다. RNA의 5‘말단에는 전형적인 캡구조를 가지고 있고 5’비암호화부위 (약 100뉴클레오티드), 하나의 긴 ORF(약 10,272뉴클레오티드) 그리고 3‘비암호화부위 (약 428뉴클레오티드)로 되어있다. 이 ORF로부터 3 종의 구조 단백질(C, prM, E)과 7종류의 비구조 단백질(NS1, NS2A, NS2B, NS3, NS4A, NS4B, NS5)이 만들어진다.

복제 (또는 생활사)

Aedes 속의 모기에 의해 ZIKV가 전파된다. ZIKV는 진피섬유세포, 표피각질세포, 미성숙 수지상세포를 포함한 피부세포에 침투하여 감염을 유발하고, 감염된 이동성 숙주 세포가 인근의 림프절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바이러스가 1차 증식하고, 이후 혈액을 통해 다른 부위로 이동한다. ZIKV의 E 단백질이 숙주세포의 수용체 부착과 융합에 중요하며, E 단백질의 패턴이 신경세포 감염력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 추정된다. 모기에 물린 후 3~11일 후 증상이 시작되며, 감염자의 약 80%는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양성 가닥 RNA 유전체는 즉시 단백질로 번역될 수 있다. 당단백질을 이용한 내포작용을 통해 세포 내로 진입하기 위해 엔도좀 막과 결합하며, RNA 유전체는 캡시드 단백질과 함께 뉴클레오캡시드를 형성한다. 바이러스 유전체 복제는 단일 양성 가닥 RNA로부터 이중 가닥 RNA를 형성하는 과정이며, 바이러스의 mRNA와 새로운 단일 양성 가닥 RNA 유전체 생산을 위한 전사와 복제가 뒤따른다.

 

역학 및 감염경로

1947년 우간다 지카 숲의 rhesus 원숭이에서 최초로 ZIKV가 확인되었고, 1954년 나이지리아 동부의 소녀로부터 ZIKV를 분리하였다. 1960년대에서 1980년대에 20개 이상의 모기 종 , 특히 Aedes 속에서 주로 발견되어 분리되었으며, 아프리카 적도 지역 국가들의 현장 연구에 사용되었던 rhesus 원숭이에서도 검출되었다. 주로 혈청학적인 검사 방법으로 산발적인 인체 감염 사례를 확인하였으며, 감염자에게서 특별히 심각한 증상은 없었다. 사망과 입원 사례가 보고된 적이 없었으나, 우간다 뿐만 아니라 적도 부근의 서부 아프리카, 아시아(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에서도 혈청학적 방법으로 인체 감염이 확인되었다. 2007년 태평양의 마이크로네시아 Yap 섬에서 최초로 지카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 대규모로 발생하였으며, 이는 바이러스가 남동 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했음을 의미한다. 2013~2014년에는 태평양 제도 4곳, 즉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이스터 섬(Eater Island), 쿡 섬(The Cook Islands), 뉴칼레도니아에서 지카 바이러스 감염질환이 유행하였다.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에서 수천 건의 의심 사례가 있었으며, 선천성 기형, 심각한 신경계 및 면역계 합병증이 조사되었다. 2013년 말까지 길렝–바레 증후군(Guillain-Barré syndrome)이 증가하였으나, 뎅기 감염 발생 시기와 맞물려 지카바이러스와의 연관성을 단정할 수는 없었다. 2015년 브라질은 길렝–바레 증후군 49건 중 2건을 제외한 경우에서 지카, 치쿤구니아, 뎅기 감염 전력이 있음을 보고하였으며, 2015년 8월부터 10월까지 소두증 신생아가 54건 발생하였음을 발표하며 지카바이러스 감염과의 연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016년 2월, 세계보건기구는 지카바이러스가 소두증 및 신경계 이상과 연관이 있음을 발표하며 국제공중보건 긴급사태를 선언하였다. 2016년 현재 중남미 등지 20여 개국에서 지카바이러스의 지속적인 전파 양상이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 자생적 감염 사례는 아직 없으며, 해외에서 감염되어 국내로 유입된 사례가 8건 보고되었다(2016년 7월 말 기준).

ZIKV 감염에 의한 특징적인 증상은 반점 구진성(반점 모양으로 피부에 작게 돋아나는) 발진을 동반한 갑작스런 발열이며, 관절통, 결막염, 근육통, 두통이 동반될 수 있다. 증상은 약 3~7일 정도 경미하게 진행 된다. 일부 환자의 경우 길랭–바레 증후군, 뇌수막염, 급성 미만성뇌염과 같은 신경학적 합병증, 혈소판 감소 자반증, 백혈구 감소증과 같은 자가면역 합병증, 소두증, 태아 기형과 같은 증상이 보고되었다.

 

예방 및 치료

ZIKV 감염은 임상적, 역학적, 진단학적 기준을 참고하여 진단한다. 진단은 RT-PCR을 이용하여 ZIKV 유전자를 혈청, 정액, 소변, 모유 등에서 검출한다. ELISA를 이용하여 항체 및 항원을 검출할 경우, 다른 Flavivirus에 감염이 있었던 경우나 황열 백신을 맞은 이후에는 상호항원교차반응이 있으므로 진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ZIKV는 2015년 이전에는 증상이 경미한 바이러스로 여겨져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으며, 2015년 이후 이 분야에 많은 연구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뎅기 감염에 의하여 생성된 항체가 오히려 ZIKV의 세포 내 도입을 증진시킨다는 보고가 있어, Flavivirus 백신 개발에 있어 상호교차반응을 주의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현황

<분류기준>
- 최근 발생국가 : ① 현재 유행이 진행 중인 신규발생 국가 또는, ② '15년 이전 바이러스 전파에 대한 실험실적 증거가 있거나 토착화되어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유행 종료 근거 없음)
- 과거 발생국가 : 현재 유행이 종료되었으나(유행 종료 근거 있음) 향후 재유행 가능성이 있는 지역

<발생국가 현황>
- 전체 86개국 ▶ 최근 발생국가 71개국, 과거발생 국가 15개국(2018. 3. 22. 기준)

지역최근 발생국가 (71개국)과거 발생국가 (15개국)

아시아
(12개국)

몰디브,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인도, 미얀마

-

중남미
(48개국)

가이아나 공화국, 과테말라, 그레나다, 니카라과, 네덜란드령 보네르 · 세인트유스타티우스 · 사바, 네덜란드령 신트마르텐, 네덜란드령 아루바, 네덜란드령 퀴라소, 도미니카공화국, 도미니카 연방, 멕시코, 영국령 몬트세랫,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바베이도스, 베네수엘라, 벨리즈, 볼리비아, 브라질, 수리남,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 루시아, 세인트키츠네비스 연방, 아르헨티나, 앤티가바부다,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영국령 앵귈라, 영국령 터크스가이코스군도, 온두라스, 자메이카,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쿠바,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푸에르토리코, 프랑스령 기아나, 프랑스령 생마르탱, 아이티

칠레(이스터섬), 프랑스령 생바르텔르미,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영국령 케이맨제도, 바하마

북미
(1개국)

-

미국 (플로리다 주 Miami-Dade country (Miami city 포함), Broward country, Pinellas country, Palm Beach country 및 텍사스 주 Cameron country)

오세아니아
(13개국)

사모아, 솔로몬제도, 통가, 파푸아뉴기니, 피지

쿡제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바누아투, 미국령사모아, 마이크로네시아, 필리우공화국, 미셜제도

아프리카
(12개국)

기니비사우, 앙골라, 카보베르데, 가봉, 세네갈, 부르키나파소, 브룬디,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코트디부아르, 나이지리아, 우간다

-

정의

지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

병원소

- 모기
- 사람 및 영장류(Nonhuman)

매개체

숲모기류(Aedes aegypti, Aedes albopictus 등)

 

전파경로

- 감염된 매개모기를 통해 전파
- (기타전파) 성접촉, 수직감염, 수혈감염 가능

증상

주 증상으로는 발진이며 다음 증상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이 동반
- 동반증상:관절통/관절염, 근육통, 비화농성 결막염/결막충혈

 

잠복기

평균 3일(1~12일)

 

치사율

극히 낮음

진단 신고 기준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1. 환자 :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확인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2. 의사환자
- 의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추정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이 의심되며, 추정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이 추정되는 사람
※ 역학적 연관성 : 증상 시작 전 2주 이내

(1)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 여행력
(2) 지카바이러스 감염자와 성접촉
(3)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지역에 최근 6개월 이내 방문 이력이 있는 사람과 성접촉
(4)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가에서 수혈력이 있는 경우

3. 병원체보유자 : 임상증상은 없으나 확인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임상증상
- 발진과 함께 다음 증상 중 하나 이상이 동반된 경우
· 관절통/관절염, 근육통, 비화농성결막염/결막충혈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1. 확인 진단
- 검체(급성기 혈액)에서 바이러스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PRNT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특이 항체 검출
- 검체(혈액, 소변)에서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 검출

2. 추정 진단
- 검체(혈액)에서 ELISA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특이 IgM 항체 검출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신고방법 : 감염병 발생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s://is.cdc.go.kr)의 방법으로 신고
* 사망(검안) 신고는 감염병환자 등 사망(검안) 신고서, 병원체검사결과 신고는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를 작성하여 추가 신고

질병관리본부 담당부서 : 감염병감시과, 바이러스분석과(진단)

 

 

 

블로그 이미지

boy906

달마에블로그에오신걸 환영합니다. 소통해보아여.......

,